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어지럼증의 중요한 원인 몇가지

반응형

일상생활 중에 어지럼증을 느낄 때에는 무척 위험할 수 있습니다. 특히 주변 환경에 따라 크고 작은 부상으로 이어질 수 있는 그냥 넘겨서는 안 되는 중요한 증상 중의 하나입니다. 어지러움도 다른 질환과 마찬가지로 여러 가지 원인을 가지고 있습니다. 세부적인 증상에 따라 원인이 나뉘는 만큼 본인의 증세를 정확히 진단해야 치료 또한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니 다음의 증상별 원인을 참고하시어 정확하고 적극적인 치료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하시기 바랍니다.

 

어지럼증의 원인

어지럼증 원인

  1. 갑자기 원인 모를 어지럼증이 생기면 빈혈이나 뇌에 문제가 있는 것이 아닐까 걱정하는데요, 어지럼증의 80%는 귀에 원인이 있고 그중 가장 흔한 원인은 바로 이석증입니다. 이석증이란, 원래 명칭은 양성 발작성 체위 현기증(BPPV)이라고 하는 이석증은 머리를 움직일 때 짧은 현기증과 어지러운 느낌을 일으키는 전정 장애입니다. 우리 귓 속에는 전정기관이라는 것이 있는데 우리 몸이 균형을 잡는데 필요한 역할을 하는 아주 중요한 곳입니다. 전정기관은 반고리관, 이석기관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반고리관 내부는 림프액이 들어있어 림프액의 움직임으로 전정신경세포가 자극되어 신체의 회전을 감지합니다. 이석기관에는 작은 돌들이 있어서 몸의 앞뒤좌우, 수직운동을 감지합니다. 이 중 이석기관에 있는 돌의 일부가 떨어져 나와서 반고리관으로 흘러 돌아다니게 되면 우리가 어지럼증으로 느끼게 되는 것입니다. 침대 위에 누워있다가 돌아 누웠을 때, 누웠다가 일어났을 때 어지럼증이 확 느껴지는 게 특징입니다. 특히 옆으로 누웠을 때 아래로 향하는 쪽의 귀에 이석증이 잘 생긴다고 하니 이석증 증상이 있는 경우 반대 방향으로 눕는 것이 좋습니다. 병원에 가면 이탈한 이석을 제자리로 돌려놓는 이석정복술로 간단한 치료를 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집에서도 손쉽게 자가치료법이 있는데 브란트 달로프 습관화 운동입니다. (1) 소파나 침대 위에 앉아서 정면을 본다. (2) 머리를 왼쪽으로 45도 돌리고 우측으로 빠르게 누운 뒤 30초 유지한다. (3) 재빠르게 일어나서 처음 정면 자세를 30초 유지한다. (4) 머리를 오른쪽으로 45도 돌리고 좌측으로 빠르게 누운 뒤 30초 유지한다. (5) 재빠르게 일어나서 처음 정면 자세를 30초 유지한다. (1)~(5)를 3세트 진행하시면 됩니다. 이석증을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첫 번째는 비타민 D의 섭취입니다. 이석은 칼슘으로 이루어져 있는데요 우리 몸이 칼슘을 흡수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 바로 비타민 D이기 때문입니다. 햇빛을 쬐어 주는 것도 이석증을 예방하는 하나의 방법일 수 있습니다.
  2. 메니에르병은 이석증과 마찬가지로 귀와 연관이 있는데 귀 속 달팽이관 내부에 림프액이 많아지게 되면 압력이 높아지게 되면서 다양한 청력문제와 함께 어지럼증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메니에르병은 자가면역질환이 가장 주된 원인이며 바이러스, 혈관순환장애, 갑상선 기능의 저하로 인하여도 증상이 나타난다고 합니다. 특징적인 증상은 하늘이 빙빙 도는 느낌의 어지러움이 20분 이상 지속되면서 오심, 구토와 함께 청력 저하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증상이 2주 이상 지속된다면 가벼이 여기지 마시고 적극적인 치료를 받으셔야 합니다. 대개의 경우 약물치료와 면역관리를 하게 되는데 치료 후에도 재발을 우려해 꾸준한 관리가 필요한 질환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평소 면역을 위한 관리와 함께 혈압이 높아지지 않도록 신경 써야 하는데 짜고 자극적인 음식을 피하고 물을 충분히 마시는 것도 좋은 관리법입니다.
  3. 뇌에 일시적으로 혈액이 부족하여 발생하는 기립성 저혈압이 있으면 아침에 일어날때, 앉았다 일어설 때 어지러움 증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 갑자기 힘을 쓸 때 눈앞이 깜깜해지면서 어지러울 수 도 있으니 저혈압 관리와 치료가 꼭 필요합니다.

위와 같이 어지럼증을 느낀다면 반드시 병원을 방문하여 적절한 치료로 빠르게 회복하시기 바랍니다. 건강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