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청년 도약계좌 신청조건, 금리혜택 총정리

반응형

청년도약계좌란 현 정부에서 청년을 대상으로 내놓은 정책으로 매월 최대 70만 원 한도 내에서 5년간 납입하면 납입금액에 정부 보조금과 비과세 혜택을 더해 총 5,000만 원의 목돈을 모을 수 있는 금융 상품입니다. 청년들이 실질적으로 자산 형성을 할 수 있도록 돕는 방안이니 만큼 청년내일저축계좌, 청년(재직자) 내일채움공제, 지자체 상품등과 동시가입을 허용하니 참고 바랍니다. 신청조건과 금리 혜택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청년도약계좌 신청조건

신규 가입일 기준 만 19세이상 34세 이하인 청년 대상으로 개인소득 6천만 원 이하인 경우 정부기여금 지급과 비과세 적용이 되며, 개인소득 6천만 원 초과 7천5백만 원 이하인 경우 정부기여금 지급 없이 비과세 적용만 가능하다고 합니다. 또한 가구소득도 보는데요, 가구소득은 중위 180% 이하인 경우에만 신청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프리랜서 등 4대 보험에 가입되지 않은 직종에 근무하는 경우에는 소득을 증명하는 서류를 제출한다면 가입이 가능합니다. 

금리혜택

청년도약계좌 상품을 취급하는 은행은 모두 11곳 입니다. KB, 신한, 우리, 하나, 농협, 기업, 부산, 대구, 경남, 광주, 전북은행으로 금리는 최대 6%입니다. 그러나, 은행마다 기본금리와 우대금리가 다르고 고정금리와 변동금리의 조건들이 서로 다를 수 있으며 다음의 은행별 금리표를 보고 비교 후 가입 하기 바랍니다.

Q&A

  • Q. 가입신청 기한이 있나요? A. 6월 15일을 시작으로 21일까지 5영업일 동안 출생연도 기준으로 5부제에 따라 가입접수를 받는다고 하며, 6월 22일, 23일에는 출생연도와 관계없이 접수가 가능합니다. 7월 부터는 매월 2주간 가입신청 기간을 운여예정에 있습니다. 은행별 문의 후 방문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 Q. 현재 무직인 경우 가입이 가능 한가요? A. 무직으로 현재 소득이 없다 하더라도 직전 연도의 소득을 증명하는 경우 가입이 가능합니다.
  • Q. 가입 이후 소득이 없어지거나, 소득이 증가하면? A. 그렇다 하더라도 가입 시점을 기준으로 판단하므로 해지하지 않아도 되며 만기 시까지 납입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소득이 증가한 경우 정부기여금 지급금액이나 지급여부는 바뀔 수 있습니다.
  • Q. 청년희망적금 가입자도 청년도약계좌 가입할 수 있나요? A. 아쉽게도 중복하여 가입할 수 없습니다.
  • Q. 중도 해지가 가능한가요? A. 가입자의 사망이나 해외이주, 가입자의 퇴직, 사업장의 폐업, 전재지변, 장기치료 요하는 질병, 생애최초 주택구입등의 특별중도해지 요건에 해당하는 경우는 정부기여금이 지급되며, 이자에 대해 비과세도 적용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일반적인 중도해지는 정부기여금 지급이나 비과세 적용이 안 되는 점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